10N 수산화나트륨(NaOH) 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NaOH의 분자량과 용액의 밀도를 알아야 한다.
- NaOH의 분자량은 40 g/mol이다.
- 10N NaOH 용액의 밀도는 약 1.333 g/mL이다.
* 10N 수산화나트륨 용액 만드는 방법
1. 10N 용액에 필요한 NaOH 몰 수를 계산한다.
수산화나트륨은 노르말농도와 몰농도가 동일하다.
따라서 10N = 용액 1리터당 10몰의 NaOH 이다.
10N NaOH 용액 1리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10몰의 NaOH가 필요하다.
2. 필요한 NaOH의 질량을 계산한다.
10몰 x 40g/mol = 400g의 NaOH
이때 pellet (펠렛)형태의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한다.
3. 부피 플라스크(volume flask)에 약 800 mL의 정제수를 넣는다.
4. NaOH 펠릿 400 g을 물에 천천히 넣고 계속 저어준다.
이 단계에서는 열이 발생하므로 주의하여야한다.
갑자기 열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수산화나트륨을 한번에 넣지 않고 나눠서 넣어준다.
5. 모든 NaOH 펠릿이 녹으면 용액에 정제수를 더 넣어 최종 부피를 1리터로 만든다.
6. NaOH가 완전히 녹을 때까지 섞어준다. Stierrer bar 등을 이용한다.
주의사항: 수산화나트륨은 부식성 및 부식성 물질이므로 취급 시 항상 내화학 장갑 및 보안경과 같은 적절한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하여야 한다.
'과학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약전에서의 평균, 표준편차, %RSD 공식 계산 엑셀 정밀도 (KP,JP,EP,USP/NF) (0) | 2023.03.19 |
---|---|
미결정셀룰로오스 101과 102의 차이(Microcrystalline cellulose, MCC) M101 vs M102 (0) | 2023.03.18 |
10N 수산화암모늄 만드는 법 (10N Ammoniumm hydroxide) (0) | 2023.03.18 |
미결정셀룰로오스(Microcrystalline cellulose, MCC)의 배합 목적 (0) | 2023.03.12 |
수산화나트륨이 피부에 닿았을 때 대처 방법 (sodium hydroxide) (0) | 2023.03.12 |